AI가 다시 쓰는 슬픔, 기억, 그리고 죽음

## "죽은 이들이 이렇게 말이 많았던 적은 없었다" - AI가 바꾸는 애도와 기억의 풍경
AI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이제 죽은 이들과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대화할 수 있는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최첨단 AI 시스템은 수많은 데이터와 목소리, 영상, 심지어는 소셜 미디어 기록까지 통합하여 고인(故人)의 모습을 정교하게 재현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조부모와 영상통화를 하듯이, 혹은 친구나 가족과 채팅하듯이, 사후에도 대화할 수 있는 ‘디지털 유령’과 소통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는 과거의 영매나 교회 의식에서 느꼈던 위로와는 차원이 다른 방식입니다. 누군가는 이를 “유령과 대화하는 무신론적 버전”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남겨진 사람들에게 진정한 치유와 정서적 의미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돌아가신 가족의 소셜 미디어에 메시지를 남기거나, 그들의 AI 아바타와 대화하며 슬픔을 덜거나, 미처 하지 못한 이야기를 나누며 마침내 마음의 문을 닫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합니다. 인간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실을 극복해 왔으며, AI는 또 다른 적응의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사후 디지털 아바타와의 소통이 실제 인간관계나 삶의 다른 중요한 부분을 저해하거나, 지나치게 집착하게 만들 우려도 제기됩니다. 지금까지도 죽음을 둘러싼 산업은 상실한 이의 그리움을 상품화해왔는데, AI 역시 새로운 경제적 욕망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인간의 회복탄력성이 뛰어나다는 점,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는 이 새로운 '죽음의 기술'에도 적응해 나갈 것임을 강조합니다.
오늘날 ‘그리움 기술’이라 불리는 AI 기반 채팅봇(그리프봇), 음성 복제, 디지털 아바타, 가상현실 재현 등은 실제로 상업화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 미국 기업은 AI로 “관계의 본질”을 보존한다고 주장하며 유가족에게 지속적인 위로와 치유의 경험을 제공합니다. 한국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세상을 떠난 딸과 어머니가 다시 만나 대화하는 다큐멘터리가 방영되기도 했습니다. AI를 통한 죽음 이후의 삶, 인간의 기억과 존재가 디지털 기술로 이어지는 시대가 이미 열렸습니다.
정리하자면, AI는 죽음 이후의 침묵을 깨고, 고인과의 새로운 소통을 가능케 하며, 슬픔·기억·애도의 개념 자체를 다시 쓰고 있습니다. "죽은 이들이 이렇게 말이 많았던 적은 없었다"는 표현은, 우리가 AI를 통해 얼마나 새로운 방식으로 죽음을 마주하게 되었는지 함축적으로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