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abass mcp(model context protocol) 로 앱 제작 하기

Supabase MCP(Model Context Protocol)로 앱 제작하는 상세 가이드
Supabase MCP(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 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도구와 Supabase와의 연결을 간소화하여,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관리, API 연동 등을 자동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능입니다. MCP를 활용하면 별도의 코딩 없이도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테이블 생성, 프로젝트 연결 등 앱 개발의 복잡한 과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MCP의 기본 구조와 핵심 역할
- MCP는 AI 도구(예: Cursor, Claude 등)가 Supabase와 직접 소통해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테이블 관리, 데이터 쿼리, 환경설정 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버 프로토콜입니다.
- 개발자가 직접 SQL을 작성하지 않아도, 프롬프트 기반 명령만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설계되고,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집니다[3][5].
앱 제작의 전체 흐름
- Supabase 프로젝트 생성
- Supabase 대시보드에서 새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 무료 요금제에서는 최대 2개의 프로젝트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1].
- MCP 연동 준비
- 프로젝트의 API URL과 anon public 키를 복사합니다. 이 정보는 AI 도구와 Supabase MCP 연결 시 필요합니다[2].
- AI 도구에서 MCP 연결
- 예시로 Cursor 또는 Claude 같은 AI 코딩 도구에서, mcp.json 등 MCP 설정 파일을 생성하거나, 프롬프트에 프로젝트 정보(API 키, URL 등)를 입력합니다.
- MCP로 연결된 AI 도구에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는 명령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회원 관리용 테이블(User, Profile 등)을 만들어줘"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1][2].
- 자동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적용
- 프롬프트 입력 후 ‘런툴’ 또는 실행 버튼을 누르면, AI가 해당 요청에 맞는 SQL 스키마를 생성하고, MCP를 통해 Supabase 프로젝트에 바로 반영합니다[2].
- 별도의 DB 테이블 수동 생성 과정 없이, 모든 스키마 및 설정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 프로젝트와 Supabase 연동 확인
- Supabase 대시보드에서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이 자동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PI, Edge Functions 등 Supabase의 다양한 기능에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2].
MCP의 장점 및 활용 팁
- 개발자가 복잡한 SQL이나 DB 구조를 직접 짜지 않아도, AI 프롬프트만으로 핵심 DB 설계 및 연동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여러 개의 앱을 만들 때도, 각각의 Supabase 프로젝트를 생성한 뒤 같은 방식으로 MCP를 연동하면 프로젝트별 DB 설계가 손쉽게 이루어집니다.
- mcp.json 등 MCP 설정 파일에 각 프로젝트의 API 정보만 잘 입력하면 반복적으로 빠르게 신규 앱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1][5].
실제 예시
"회원 관리와 게시글 기능이 있는 앱을 만들고 싶다"
→ Cursor, Claude 등에
"User, Post 테이블을 생성하고, User에 이름/이메일, Post에 제목/본문/작성자 필드를 추가해줘"
와 같이 프롬프트 입력
→ MCP가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해주고, Supabase에 바로 적용
→ Supabase 대시보드에서 테이블 및 컬럼 자동 생성 확인
→ 프론트엔드/백엔드 코드에서 Supabase API로 각종 데이터 연동 가능
추가 참고: MCP 적용시 주의사항
- MCP 서버나 MCP 설정 파일에 프로젝트별 API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 무료 요금제에서는 Supabase 프로젝트 수 제한(2개)을 유념해야 합니다. 추가 프로젝트 필요시 유료 플랜 검토가 필요합니다[1].
- MCP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연동은 반복성과 자동화에 매우 강점이 있으나, 복잡한 커스텀 로직이 필요할 경우 수동으로 추가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Supabase MCP를 활용하면, AI 도구와 연계하여 앱 제작 과정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연동을 획기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명령과 MCP 연동만으로도 복잡한 앱 개발에 필요한 DB 및 API 환경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1][2][5].
https://www.youtube.com/watch?v=uJxiljfWD8A,https://www.youtube.com/watch?v=lNpVHQH7xxg,https://supabase.com/blog/mcp-server,https://www.youtube.com/watch?v=7fvmjjfO59E,https://hyperhand.tistory.com/entry/AI-%EC%97%90%EC%9D%B4%EC%A0%84%ED%8A%B8%EC%9D%98-%ED%95%B5%EC%8B%AC-MCP%EB%AA%A8%EB%8D%B8-%EC%BB%A8%ED%85%8D%EC%8A%A4%ED%8A%B8-%ED%94%84%EB%A1%9C%ED%86%A0%EC%BD%9C-%EA%B8%B0%EC%B4%88-%EA%B0%80%EC%9D%B4%EB%93%9C